본문 바로가기

LIFE

전기자동차 대중화를 위한 주요 과제는 충전 인프라




전기자동차 대중화를 위한 주요 과제는 충전 인프라


최근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큰 이슈는 자율 주행 자동차와 전기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대기오염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 지면서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기차는 차량 유지비면에서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내연기관 자동차 대비 구매 가격이 월등히 비싸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충전 인프라 부족,짧은 주행 거리 및 긴 충전 시간 등의 단점 역시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전기차의 비싼 몸값은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보조금을 받을 경우,일정 부분 해결될 수 있지만 충전 인프라 시설은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아직 갈 길이 멀수밖에 없습니다.



작년 한해 국내 전기차 보급대수는 약 3,044대에 그쳤지만 올해에는 각 지방자치단체와 정부에서 2014년 전체 판매량보다 많은 3,090대를 구매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민관 보급 확대를 위해 1,500억 원이라는 예산을 확보,2016년까지 약 1만 6천 대 이상의 전기차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충전 인프라 시설의 보급 확대는 더디기만 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전기차 급속 충전기는 142개에 불과하며,이마저도 대도시에 위치해 있어 지역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오는 2017년까지 약 600개의 급속 충전기를 추가 보급한다고 발표했지만,전기차 판매량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현실입니다.

일반적으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고정형 방식인 완속충전기와 급속 충전기로 나뉩니다.

두 충전 방식 모두 일정 공간이 있어야 설치가 가능하며,완속 충전기의 경우 약 600~700만 원,급속 충전기의 경우 6천만 원 이상의 설치비용이 발생합니다.

정부에서 보조금을 받는다고 해도 소비자들이 구매하기에는 어려운 금액입니다.

또,각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으로는 전기차 판매량에 걸맞는 충전기 수량을 보급할 수 없습니다.


서울시는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지난 5월 13일 KT,파워큐브와 '충전용 RFID 태그' 1만 개 설치를 위해 업무 협약을 체결,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시,구청사 등 산하 공공청사 지하주차장 등의 장소를 제공하고 있으며,전기차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충전기 셰어링 도입,KT링커스와 공중전화 부스 충전기 설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충전 인프라 구축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충전용 RFID 태그 방식은 별도의 충전기 설치 과정이 필요 없고,공간 제약을 받지 ㅇ낳아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설치비용 역시 고정형 방식보다 저렴합니다.


이런 장점 때문에 공동 주택이나 다양한 주거 공간에 설치할 수 있고,쉽게 충전할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 역시 매우 간단한데,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단말기가 부착된 모바일 충전기에 RFID 태그가 내장된 전기차를 인식시킨 후 충전하면 됩니다.

무엇보다 RFID 태그로 운전자를 식별하기 때문에 전기요금이 건물주가 아닌 차량 소유주에게 자동으로 부과됩니다.

반면,전기차 모바일 충전기의 최대 단점은 충전 전력이 3.2kWh로 고정형 충전기(완속 충전기)에 비해 충전 시간이 2배 이상 길다는 것입니다.

또 충전할 때마다 모바일 충전기를 차량에서 꺼냈다 넣었다 하는 번거로움도 감수해야 합니다.


우리보다 먼저 전기차 보금에 앞선 미국,영국,프랑스,중국,일본 등 선진국들은 지난 2010년 전기차 이니셔티브(EVI) 리더십을 만들어 전기차와 관련된 기술,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들 국가에 보급된 전기차는 66만여 대,충전설비는 약 11만 대 입니다.

미국은 2014년에 연간 10만 대 이상을 판매 할 정도로 전기차 대중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 대부분은 전기차 보급을 위해 현실적인 수준의 보조금 지급,충전소 보급,확충,노상주차 허가 우선권 부여,택시 보급 장려 등의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특히 충전소 보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추세에 맞춰 국내 완성차 브랜드 및 각 지자체 역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설을  갖추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최근 추진하고 있는 전기차 모바일 충전 인프라 사업은 충전 장소의 숫자를 늘리는 데는 성공했지만,충전 시간 단축 문제가 아직 남아있습니다.

해외 사례를 보면 전기차 대중화는 한 기업,한 지자체가 나서서 해결할 수 있는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

민관의 적극적인  협력은 물론,전기차의 필요성에 대한 홍보 역시 적극적으로 이뤄져야만 대중화에 한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