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계기판 경고등 종류와 점등 시 대처방법
경고등은 자동차의 각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때 일러주어
차량고장을 예방하고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경고등의 색상은 적색이지만 주황색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적색은 즉시 정비가 필요한 상태를 나타내고
주황색은 당장 운행에는 지장이 없으나 정비의 필요성
또는 설정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의미가 강합니다.
녹색과 청색은 주로 주행 상태 또는 설정 상태를 알리는 표시로
이해하면 되고,운전중 경고등에 불이 들어오면
당황하지 말고 발 빠르게 대처해 시스템 고장을 최소화 해야합니다.
1. 엔진 오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은 엔진 오일의 압력이 낮아졌
을 때 점등되는 경고등입니다. 주행 중 이 경고등
이 점등되면 안전한 장소에 차량을 정차한 다음
엔진 오일의 양을 점검하고 부족하면 보충합니다.
보충 후에도 경고등이 소등되지 않으면
전문 정비센터에서 정비를 받습니다.
경고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계속 주행하면
엔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도어 열림 경고등
차량 문이 열려 있거나 완전히 닫히지 않았을 때
점등 또는 점멸되는 경고등입니다.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로 주행하면
매우 위험하므로 반드시 열린 도어의 위치를
확인한 후 제대로 닫고 출발해야 합니다.
3. 안전띠 미착용 경고등
시동을 건 후에도 운전석안 전띠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 또는 운전 중 안전띠를 풀었을 때 경고등에
불이 들어오거나 경고음이 울리는 기능입니다.
운전석 안전띠를 착용하면 경고음과 경고등은
즉시 중지됩니다.
4. 에어백 경고등
에어백 시스템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점등되는
경고등으로,시동을 건 다음,6초 정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고 계속 점등돼 있거나,주행 중 경고
등에 불이 들어오면 에어백 및 프리텐셔너
시트벨트 장치에 이상이 생긴 것이므로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5. 브레이크 경고등
주차 브레이크가 잠겨있을 때와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 점등됩니다.시동을 건 다음,주차 브
레이크를 해제한 상태에서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으면 브레이크액을 점검합니다.브레이크액이
부족하면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즉시 정비를 받아야 합니다.
6. 배터리 충전 경고등
배터리가 방전됐거나 팬벨트가 끊어졌을 때,
충전장치가 고장 났을 때 점등됩니다.
이 경고등이 켜진 상태로 주행하면
오버히트가 되거나,배터리가 방전됩니다.
따라서 경고등에 불이 들어오면 배터리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팬벨트나 충전게통을
점검해야 합니다.점검 후 경고등이 꺼지지
않을 때는 전문 정비센터에서 점검받습니다.
7. 트렁크 열림 경고등
트렁크가 열려 있거나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에
점등됩니다.트렁크를 완전히 닫으면 꺼집니다.
트렁크 열림 경고등에 불이 들어온 상태로 오래
주차하면 배터리가 방전돼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8. 연료 필터 수분 경고등
디젤 차량에 있는 경고등으로,연료 필터 안에
규정 이상의 물이 함유돼 있을 경우에 점등됩니다.
시동 스위치를 'ON'으로 하거나 시동을 걸었
을 때,약 6초 동안 불이 들어왔다가 소등됩니다.
운전 중 점등된 경우에는 전문 정비센터에 방문해
연료 필터의 물을 빼줘야 합니다.
9. 연료부족 경고등
연료가 부족할 때 불이 들어옵니다.
연료가 없는 상태로 계속 운전할 경우
엔진 및 연료 장치가 고장날 수 있으므로
경고등이 점등되면 즉시 연료를 보충합니다.
10. 자가진단 경고등
엔진의 정상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엔진 전자제어
장치나 배기가스를 제어하는 각종 센서에 이상이
있을 때 점등됩니다.주행 중에 불이 들어오면
가능한 빨리 전문 정비센터를 방문합니다.
일부 엔진 제어 장치가 고장나면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 있으니,이때는 견인하도록 합니다.
11. ABS 경고등
ABS(Anti-skid Brake System)가 고장이 나면
점등됩니다.이 경고등에 불이 들어오면
전문 정비센터에서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12. 타이어 압력 경고등
타이어의 압력이 규정 값보다 적을 때 점등됩니다.
타이어를 확인해 공기압을 체크하고 보충하며
이후에도 계속 점등되면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이 밖에 표시등이 있는데 표시등은 시스템 작동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녹색과 청색으로 표시합니다.
단,디젤 차량의 예열 표시등은 열이 발생한다는 의미로
호박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로 주행상태 똔느 설정상태를 알리는 표시로 이해하면 됩니다.
1. 미등 표시등
어두워졌을 때 운전자가 조명 스위치를 돌려
점등하면 됩니다.조명 스위치의 위치가
'AUTO'위치에 있으면 센서가 감지하는 외부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됩니다.
2. 안개 표시등
안개등은 안개가 많이 발생해 전방 하단의
시야확보가 어려울 때 사용합니다.
이 표시등은 안개등의 작동상태를 표시해줍니다.
3. 상향등
운전 중 전조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마주 오는
차량에게 위험을 알리거나,원거리 시야를 확보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전조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조명 스위치를 상향 위치에 두거나,
조명 스위치를 운전자의 방향으로 당기면 전조등
상향이 점등되면서 표시등에 불이 들어옵니다.
4. 예열등
디젤 차량의 경우에 해당하며,예열 플러그의
예열 상태를 표시해줍니다.시동 스위치를 'ON'으
로 하면 표시등이 점등되고,예열을 완료하면
소등됩니다.표시등이 꺼지면 시동을 걸도록 합니다.
이 표시등은 엔진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소등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선 침범 사고에 해당하는 경우와 사례 및 판례 (0) | 2015.10.01 |
---|---|
치매 예방을 위한 손가락 운동 (0) | 2015.09.30 |
어린이 통학버스 관련 법규 (0) | 2015.09.29 |
고속도로 갓길 벌금과 허용 (0) | 2015.09.27 |
가습기 청소와 세척 관리방법 (0) | 2015.09.26 |